EC Trend Report

[시스포유 EC 트랜드 리포트]

F-Commerce 동향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와 e커머스의 연계를 통한 비즈니스 기회 탐색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페이스북(Facebook)과 e커머스를 연계한 형태의 ‘F-Commerce'(Facebook Commerce)가 주목을받고 있다.

□ F-Commerce의 주요 형태

형 태

내 용

사 례

페이스북 스토어 페이스북 내에서 상품 전시에서 결제에 이르는 모든 커머스 프로세스를 완결하는 형태 ASOS, Aeropostale, Express, Juicy Couture 등 패션 의류 분야
페이스북연동형커머스 사이트 페이스북 내에 팬 페이지를 개설하고 기존의 자사 커머스 사이트로 유도하는 형태 Levis Friends Store, Trip Advisor(여행), Best Buy(가전), Ticket Master(이벤트 티켓 등) 다수
소셜 리테일링 가상 피팅룸(시착실) 등을 활용하여 점포판매와 페이스북 페이지를 연동 Macy’s(Magic Fitting Room), Diesel(Diesel Cam), Pepsi(소셜 자판기) 등의 사례
체크인 쿠폰(체크인 딜) 휴대폰의 GPS을 통해 표시되는 인접 스팟에서 체크인하면 쿠폰 발행 등 이벤트를 진행 GAP, Neiman Marcus(백화점) 등이 페이스북 또는 포스퀘어에서 체크인 기능을 활용

– 최근 패션 의류 분야를 중심으로 모든 커머스 프로세스를 구비한 ‘페이스북 스토어’가 증가

 

□ 주류는 페이스북 연동형, 향후 페이스북 스토어로 발전

– ASOS(Asos.com)의 경우 ‘페이스북 스토어’를 독자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자사 커머스 사이트의 디자인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UX면에 있어서도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여타 ‘페이스북 스토어’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음.

[ASOS.com 커머스 사이트 화면]


[ASOS.com 페이스북 스토어 화면]

 

 

□ 역시 SNS의 기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소셜 미디어의 특성인 소셜 그래프(소셜 인맥 관계) 및 친구 요소 등에 대한 이해와 고찰이 서비스의 전략 수립 상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해야 함.

 

※ 시스포유에서 발행되는 [시스포유 e-Commerce 트랜드 리포트]의 완본이나 구독을 원하시는 분들 께서는 admin@sys4u.co.kr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